익산 미륵사지로 가는 길은 멀었다. 이십 여 년만에 찾아 가다 보니, 이곳을 어떻게 왔었는지 기억조차 희미했다. 정작 사진에 담으려 했던 미륵사지 석탑은 해체 복원중이라 볼 수 없었다. 몇 년 전 신축(절대 복원이 아니다)한 흰 석탑만이 저녁 노을에 물들고 있었지만, 그 생경함이란......
미륵사지(1), 전북 익산, 2011. 4. |
미륵사지(2), 전북 익산, 2011. 4. |
아쉬움을 뒤로 하고 돌아 나오다 미륵사지 연못에 비친 노을이 예뻐 쭈그리고 앉았다 일어나기를 반복하며 카메라에 담았다.
같이 간 선배에게 '아트야'를 내뱉으며 나의 사진 실력에 도취된 순간, 메모리에 장애가 발생했다.
차에 두고 온 여분의 메모리를 가지러 가면 이 광경을 담을 수 없는 상황. 두 대의 카메라를 갖고 갔던 터라 메모리를 바꿔가며 붉은 노을을 찍었다.
이 때까지는 좋았다. 여전히 '아트'의 감흥에 취했었나 보다. 메모리에 생성된 여러 개의 폴더에서 중요한 이미지를 옮겼다고 생각하고, 과감하게 삭제 단추를 눌렀다. 연재 기사 작성을 위한 자료 사진들이 삭제된지도 몰랐다. 집으로 돌아온 뒤 자료 사진을 보려고 했더니 없다. 아! 이 허무함. 연재 기사 작성을 위해 찍었던 '군산'의 이미지들은 허공 속으로 사라졌다.
다행히도 '아트'를 연발하며 담았던 이미지는 살아 있다. 연재 기사 자료는 나중에 생각해 봐야겠다.
궁남지(1), 충남 부여, 2011. 4. |
궁남지(2), 충남 부여, 2011. 4. |
자료 사진을 날린 지도 모르고, 연못에 투영되는 저녁 노을에 꽂혀 부여 궁남지에 들렀다. 또 다시 '아트'를 내뱉으며 열심히 좌우를 오간 끝에 몇 개의 이미지를 얻었다. 삭제된 지 알았다면 부여로 가지 않았을 것이다. 다행인지 불행인지 몰라서 담을 수 있었던 궁남지의 저녁 노을.
궁남지(3), 충남 부여, 2011. 4.
지루하게 달려야 하는 서해안 고속도로가 떠오른다. 이번 주에 가면 '군산'은 벚꽃 천지겠지만, 밀려 있는 일을 생각하니 갈 수도 없다. 저녁 노을이 보여주는 몽환에 취해 '아트' 운운하다, 정작 중요한 자료를 잃었지만 은은하게 퍼지는 저녁색을 보며 우울하게 '아트야'를 내뱉아 본다.